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올 직장암이라고 하고,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합니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이라는 양성 종양이 진행되어 발생하고,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육종, 상피암, 유암종 등이 있습니다.
2. 원인
1) 용종과 대장암
약 70-90%의 대장암이 선종성 용종에서 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용종의 크기가 클수록 암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용종의 크기가 직경 5mm이하라면 암의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2Omm이상의 크기면 암으로 변할 가능성은 50%에 이르게 됩니다.
2) 염증성 장질환
장기간의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씨병에서 대장암의 발생이 증가하며, 염중성 장질환이 생긴지 약 15-20년이 지난 후부터 암이 발생할 위험이 매년 1%씩 증가합니다.
3) 유전적 요인
전체 대장암의 약 25%는 유전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는 린츠증후군(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가족성 대장용종증, 그리고 아직 유전적 양상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족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전체 대장암 환자의 10-20%는 가족중에도 대장암에 걸린 사람이 있고, 이는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도 있으나 가족적 식이 습관이나 환경 등의 영향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모나 형제 중에 대장암 환자가 있으면 대장암에 걸릴 가능성이 2배나 높은데 이 위험도는 30대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나
이가 들어갈수록 더 높아지며 가족 중에 대장암 환자가 2명 이상이 있거나 55세 이전에 대장암이 발생한 경우에는 더 높아지게 됩니다.
4) 방사선 조사
골반에 방사선조사를 받은 환자는 정상인보다 상부직장암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은데, 방사선 조사후 약 10여 년의 기간이 경과한 후 암발생의 빈도가 높아지며, 골반조사를 받은 환자들은 10년 후 부터는 대장암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3. 증상
1) 갑자기 변올 보기 힘들어지거나 변 보는 횟수가 변하는 등의 배변습관의 변화
2) 설사, 변비 또는 배변 후 후중기(변이 남은 느낌)
3) 혈변(선홍색 또는 검붉은색) 또는 점액변
4) 예전보다 가늘어진 변
5) 복부 불편갑(복흉, 복부팽만)
6) 체중이나 근력의 감소
7) 피로감
8) 식욕부진, 소화불량, 오심과 구토
9) 복부 종물
4. 치료
1) 내시경적 절제술
접막에 국한된 조기 대장암의 경우에는 내시경적 절제술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2) 수술
대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는 가장 근본이 되는 치료이며, 대장암의 수술에서는 대장의 절제가 필수적으로 동반되고, 종양 덩어리는 종양의 양옆으로 몇 센티미터 정도 정상 대장과 함께 절제됩니다.
3) 항암화학요법
대장암에서 항암화학요법의 목적은 암을 완전히 절제한 후에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과 수술을 시행 할 수 없는 전이성 대장암의 치료에 적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보험설계사, 자동차영업, 대출영업 등 고객 업무관리 프로그램영업관리, 매출관리, 고객관리 프로그램입니다DEMO버전을 다운받아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신규생성은 제한되어 있음)1. 고객 관리(약3만명 가능)2. 고객별 PDF문서작성 및 조회3. 사진 PDF 작성 및 조회4. 메모장5. 매출관리
의학용어 및 약어 5만단어를 수록하였으며, 컴퓨터에 MS오피스 엑셀프로그램이 있어야만 실행됩니다.처음실행시 한번은 매크로 '콘텐츠사용'으로 해주셔야 합니다.비밀번호는 bosang을 숫자로 입력한 267264 이며판매, 배포, 전송, 복제는 절대 금지합니다. 본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명인종합손해사정에게 있습니다.